독일 출판계와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 관련 새 소식, 소규모출판사, 소량책, 소량책만들기

독일 출판계와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 관련 새 소식, 소규모출판사, 소량책, 소량책만들기       12월 독일 출판시장 보고서 코디네이터 | 박소진     출판과 인공지능과의 접점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8080 북스 출판사(8080 Books)’를 설립하고, 인공지능 도구 사용 관련 가이드라인이 제작되고 있는 동시에, 생성형 도구 사용에 대한 일부 입장의 반발이 굳건하다. 현재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를 어떻게 그리고 어느 영역에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각적인 입장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에 대한 단신 모음과 독립 출판사 지원에 열정적인 쿠르트 볼프 재단 과의 대면 인터뷰 이야기를 공유한다. 독일 출판계와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 관련 새 소식, 소규모출판사, 소량책, 소량책만들기     독일 출판계와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 관련 새 소식 책을 읽다가 내용에 궁금한 점이 생기면 책에게 물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출판사가 있다. 나르 프랑케 아템프토 학술 출판사(Narr Francke Attempto)에서는 ‘책에게 ...
Read more

태국 출판사 쌀몬 북스(SALMON BOOKS) 심층 인터뷰, 도서편집, 독립출판, 독립출판비용

태국 출판사 쌀몬 북스(SALMON BOOKS) 심층 인터뷰, 도서편집, 독립출판, 독립출판비용     태국 출판사 쌀몬 북스(SALMON BOOKS) 심층 인터뷰 이현경 작가의《태국 문방구》가 태국의 쌀몬 북스(Salmon books)에 수출되어 지난달 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태국어 제목으로《THAILAND STATIONERY ร้ านเคืร่อง เีขยนไทยใกล้ ฉั น》로, ‘나와 가까이에 있는 태국 문방구’라는 뜻이다. 출간된 지 한 달이 지난 11월 현재, 방콕의 대형 서점인 ...
Read more

보일러공학개론

보일러공학개론 (Introduction to Boiler Engineering) 미리보기 보일러공학개론 (Introduction to Boiler Engineering)     도서정보 저자 : 송승훈 ISBN : 978-89-6131-167-0 페이지 : 118 page 발매일 : 2025-01-24 크기 : 182*257mm 정가 : 12,000원     책소개 보일러·에어컨·환기설비·급수펌프 등 건축물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로, 흔히 건축물의 ‘혈관·호흡기’에 비유된다. 이처럼 보이지 않는 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계설비를 ...
Read more

[다시 소설이다] 아이들에게 이야기의 힘을, 이야기를 통해 배우는 ‘공감’, 실적용, 실적용도서, 실적용책

[다시 소설이다] 아이들에게 이야기의 힘을, 이야기를 통해 배우는 ‘공감’, 실적용, 실적용도서, 실적용책     [다시 소설이다] 아이들에게 이야기의 힘을 이미향(공부심리연구소 대표) 2025. 01+02.     이야기를 통해 배우는 ‘공감’ 첫째 딸은 어렸을 때부터 동화책을 자주 읽곤 했다. 딸은 그중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의 『성냥팔이 소녀(The Little Match Girl)』(1845)를 좋아했다. 몹시 추운 성탄절 날 성냥팔이 소녀가 눈보라 ...
Read more

대만 여행기(TAIWAN TRAVELOGUE) 미국 전미도서상 수상, 분담출판, 서적출판, 소규모출판

대만 여행기(TAIWAN TRAVELOGUE) 미국 전미도서상 수상, 분담출판, 서적출판, 소규모출   《대만 여행기(TAIWAN TRAVELOGUE)》 미국 전미도서상 수상 대만 소설가 양솽쯔(楊双子)의 소설《 대만 여행기(Taiwan Travelogue)》의 영어 번역본이 미국 전미도서상 번역 문학상 부문을 수상했다. 이는 전미도서상에서 번역 문학 부문이 생겨난 이후 대만에서의 첫 수상이며, <뉴욕타임스>에서는《 대만 여행기》에 대한 리뷰를 실었다.   도서《 대만 여행기 (Taiwan Travelogue)》의 표지   양솽쯔의 소설《 대만 여행기》는 1938년 일본이 대만을 식민지 통치하던 시절을 배경으로한다. 대만의 음식 문화와 전통을 탐구하러 1년간 대만을 방문한 일본인 여성 작가가 여행하는 동안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그녀의 현지 통역가와 사랑에 빠지는 내용이다. 음식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두 주인공이, 중국어, 대만어, 일본어 그리고 영어와 같은 언어의 장벽을 넘어 소통하는 과정을 흥미로운 이야기를 통해 풀어냈다. 이 책은 작가와 번역가의 관계를 일본과 일본의 통치를 받고 있던 대만의 관계에 비유하여 권력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그리고 다른 여행 회고록이 그러하듯 주인공은 낯선 땅에서 자신을 깨닫는 시간을 거친다. 《대만 여행기》의 번역가 린 킹(Lin King, 金翎)은 대학원 재학 시절 해당 도서의 번역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의 관심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힌 린 킹은 이 책에 대해, “번역 문학에 관해 이야기하는 번역 문학”이라고 평했다. 그는 (번역 과정에서) 과도하게 서양화를 하지 않으며 원문의 정수를 잡아냈다고 강조했으며, “이 책이 대만의 문화와 ...
Read more

도서전 주요 현안 : 아동 도서의 국제 교류 및 출판계의 변화, 도서출판, 도서출판방법, 도서출판사

도서전 주요 현안 : 아동 도서의 국제 교류 및 출판계의 변화, 도서출판, 도서출판방법, 도서출판사     도서전 기본 정보 <세계, 그리고 미래와 함께>라는 주제로 열리는 제11회 중국 상하이국제아동도서전(CCBF)이 2024년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상하이 월드 엑스포 전시관에서 개최되었다. 중국 공산당 상하이시 위원회 선전부(상하이시 신문출판국)의 지도하에 상하이 신화유통그룹, 중국교육출판미디어그룹, 글로벌 뉴스출판발전유한회사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볼로냐 아동 도서전과 협력하였다. 이번 도서전에는 32개국 및 지역의 497개의 중국 및 해외 아동 ...
Read more

커버스토리 [다시 소설이다] 소설의 힘과 가치, 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들, 소장용책제작, 시집출판사, 시출판사

커버스토리 [다시 소설이다] 소설의 힘과 가치, 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들, 소장용책제작, 시집출판사, 시출판사     [다시 소설이다] 소설의 힘과 가치 허희(문학평론가) 2025. 01+02.     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들 2024년 2학기, 내가 어느 대학교에서 맡았던 강의는 <소설창작연습>이었다. 소설가가 아닌 평론가가 소설 창작 과목을 가르친다는 것이 이상하다고 여길 사람이 많으리라. 사실은 나도 그랬다. 하지만 소설 창작이란 ...
Read more

미국 대선과 베스트셀러 지각 변동, 대학출판사, 도서유통, 도서출간

미국 대선과 베스트셀러 지각 변동, 대학출판사, 도서유통, 도서출간     미국 대선과 베스트셀러 지각 변동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확정된 직후, 아마존 베스트셀러 순위에 눈에 띄는 변동이 일어났다. 디스토피아, 전체주의, 페미니즘 등의 주제를 다룬 소설과 역사책들이 상위권 목록으로 올라왔다. 가부장적 권력 아래 여성들이 출산을 강압 받는 사회를 그린 마거릿 애트우드의《 시녀 이야기(The Handmaid’s Tale)》, 조지 오웰의《 1984》를 비롯한 ...
Read more

부원고등학교, 독도의 날 행사 성황리 개최, 장애인 인식 교육의 중요성 및 우리의 역할, 학교교지, 신문제작, 신문디자인, 신문만들기

부원고등학교, 독도의 날 행사 성황리 개최, 장애인 인식 교육의 중요성 및 우리의 역할, 학교교지, 신문제작, 신문디자인, 신문만들기                         새롭게 도약하는 부원고등학교의 관리자를 만나봅니다. 1. 부원고등학교를 이끌어 가는 시작점에서 교장선생님이 갖고 계신 교육 철학 및 가치관을 알려주세요. (학교장의 교육자로서의 가장 큰사명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미래전문가들은 인공지능과 컴퓨터화로 인해 지금의 일자리 중 상당부분이 조만간 사라질 것이고, 미래에는 대량실업과 ...
Read more

[다시 소설이다] 소설 시장의 위축, 그럼에도 선전한 작가들, 소장본제작, 소장용책, 소장용책만들기

[다시 소설이다] 소설 시장의 위축, 그럼에도 선전한 작가들, 소장본제작, 소장용책, 소장용책만들기   [다시 소설이다] 소설 시장의 위축, 그럼에도 선전한 작가들 황지윤(<조선일보> 문화부 기자) 2025. 01+02.     독서율 하락, 위태로운 문학상·문학 잡지 필자는 문화부 담당 기자로 문학 관련 관계자들을 자주 만난다. 그때마다 이야기의 갈래는 다양했으나 빠지지 않는 내용이 있었다. 다들 “문학의 위상이 쪼그라들었다.”거나 “문학의 영향력이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