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미생물진단, 진단미생물학에 대한 일반적 접근법, 마이코플라스마 분리 프로토콜, 감수성 디스크 및 해석 영역 직경 크기

임상미생물진단, 진단미생물학에 대한 일반적 접근법, 마이코플라스마 분리 프로토콜, 감수성 디스크 및 해석 영역 직경 크기

 

 

 

 

 

 

 

 

진단미생물학에 대한 일반적 접근법

업무내용 기록하는 방법(내림차순)

플레이트용 배지

증균배지

동정용 배지

동정 시스템

임상시료 배양 프로토콜

혐기성 배양 프로토콜

마이코플라스마 분리 프로토콜

살모넬라 분리 프로토콜

소변 배양 프로토콜

관절액/CSF 배양 프로토콜

혈액 배양 프로토콜

생화학 접종

호기성 세균 동정을 위한 순서도

혐기성 세균 동정을 위한 순서도

그람음성균 동정 도표

그람음성구균 동정 도표

그람양성균 동정 도표

포도상구균 및 미구균 동정 도표

장구균 및 연쇄상구균 동정 도표

특수 세균

진균 배양을 위한 배지 접종

항균제 계열

감수성 디스크 및 해석 영역 직경 크기(밀리미터)

염색방법

임상미생물학 실험실 준비

수의 진료실 내 의료 폐기물

참고문헌

임상미생물학 임상 수의사는 제한된 양의 장비와 배지를 사용하여 동물 감염의 진단과 치료를 돕는 목적으로 세균학적 절차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요에서는 수의사가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절차를 자세히 설명한다.

일반적 접근법 목표는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배지와 최소한의 시간을 사용하여 샘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정체와 중요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있다. 숙련된 미생물학자는 혈액 한천상의 콜로니 특성, 그람 반응 및 세포 형태를 통해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프로테우스, 슈도모나스 등과 같은 많은 일반적인 병원균을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임상미생물학 실험실의 접근 방식은 다음의 5단계로 이루어지며 모든 영역에서 품질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표본에 대한 직접 감수성 테스트는 권장하지 않음.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는 표본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직접 실시할 수 있지만, 이는 예비 데이터로 간주해야 하며 분리된 병원체에 대한 적절한 검사가 뒤따라야 한다. 표본은 감수성 검사 12~24시간 전에 1차 분리 배지에서 배양해야 한다. 순수 배양을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그람 염색, 콜로니 특성 분석, 감별 생화학 검사로 동정된 1차 플레이트에서 구별 가능한 병원균을 선택한다. 항균 감수성을 아는 것보다 어떤 미생물인지 아는 것이 더 중요한 경우가 종종 있다. 예: 귀 감염이 포도상구균에 의한 것인지,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 또는 효모에 의한 것인가? 표본은 감수성 검사 12~24시간 전에 1차 분리 배지에서 배양해야 한다.

염화나트륨 첨가 MH (MHNaCl)는 포도상구균의 메티실린 내성 검사에 사용한다. 이 플레이트는 옥사실린 디스크 1개만 받아들이며 포도상구균에만 사용되며 다른 미생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메티실린 내성 여부는 옥사실린 스크리닝 배지, 스펙트라 MRSA 플레이트, 페니실린 결합 라텍스 응집, MecA 유전자 유무 확인을 위한 분자 검사 등 다른 방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플레이트에 접종하려면 멸균 면봉을 적절하게 조절한 접종액에 담그고 튜브의 내벽에 대고 충분히 돌려서 충분한 액체가 묻도록 한다. 뮬러 힌튼 플레이트에 4회 스트리킹하는데 스트리킹 사이사이에 플레이트를 90°회전하고 스트리킹된 부분끼리 서로 가깝게 유지되도록 한다(잔디패턴 스트리킹). 다음 플레이트에 스트리킹 하기 전에 면봉에 접종균을 다시 묻힌다. 새 면봉을 사용하여 NaCl 플레이트에 접종한다.

임상미생물학 보고서 케이스 보고 양식의 오른쪽 하단 노란색 사본에 내림차순 흐름도 방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작업내용을 매일 정확하게 기록한다(14페이지 참조). 모든 플레이트에 케이스 번호, 동물명, 채취 장소, 날짜를 기재하고 콜로니 닉네임(소문자, 흰색, 알파벳)을 계속 추적할 수 있도록 기록한다. 노란색 사본의 오른쪽 하단 모서리에 는 양식에 자신의 이니셜을 기재하고, 자신의 케이스에 속한 모든 플레이트/튜브/랙에 본인의 이니셜을 기재해야 한다.

카르말리 한천배지 숯과 여러 항균제가 포함된 선택 배지로 캄필로박터 제주니의 콜로니 증식을 위한 배지이다. 35 및 42*C의 미호기성 조건(Cfj 바이오백)에서 배양한다. 중간 크기, 점액성, 회색-투명한 콜로니를 찾고 그람 염색으로 형태를 확인한다…그람음성에서 곡선 막대(갈매기 모양)로 확인한다.

리스테리아 선택 배지 식품 미생물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배지로 억제제 및 에스쿨린(리스테리아는 에스쿨린 +, 콜로니는 검은색으로 변함)이 포함되어 있다. CO2 조건에서 배양한다.

마이코셀 진균용 선택 배지로 특히 피부사상균에 적합하며, 억제제는 사이클로헥사마이드와 클로로마이세틴이다. CO2 없이 배양한다.

증균 시스템은 샘플을 첨가하는 액체 배지이다. 증균 배양액을 일정 기간 배양한 다음 선택적 플레이트 및 비선택적 플레이트용 배지에 올려 콜로니로 존재하는 미생물을 배양한다. 미생물학자는 증균을 통해 대량의 샘플(예: 대변 1g 또는 혈액 5~10ml)이나 어려운 샘플(예: 방광 결석, 뼈 및 카테터 끝)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미생물은 숙주에서 액체 시스템의 체외 조건으로 이동하면 영양분에 어느 정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잘 자라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안타깝게도 모든 증균과정에는 일부 오염 물질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혈액이나 일반적으로 멸균된 다른 샘플을 증균하는 경우 매우 조심스럽게 취급해야 한다. 피부 또는 환경 오염 물질의 박테리아 세포 1개라도 증균시 높은 역가까지 증식할 수 있다.

임상미생물진단, 진단미생물학에 대한 일반적 접근법, 마이코플라스마 분리 프로토콜, 감수성 디스크 및 해석 영역 직경 크기

 

댓글 남기기